지금 e 뉴스입니다. <br /> <br />첫 번째 키워드는 '한강 노벨문학상' 입니다. <br /> <br />어제 저녁, 기쁜 소식이 있었죠. <br /> <br />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에 국내외 반응이 뜨겁습니다. <br /> <br />한강의 노벨문학상 소식이 전해지자 교보문고 광화문점은 노벨문학상 코너에 한강의 작품들을 진열했는데요. <br /> <br />시민들은 매대 앞에서 노벨문학상 수상을 축하하며 '인증샷'을 찍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한때 서점 사이트가 마비될 정도로 온라인도 뜨거웠는데요. <br /> <br />어제 교보문고의 온라인 베스트셀러 순위 1~9위를 한강의 작품이 싹쓸이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서점가도 발 빠르게 움직였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 거주하는 한 누리꾼은 서점 매대가 한강 작품으로 채워지고 있다며 도쿄 신주쿠 서점의 상황을 전했는데요. <br /> <br />"도쿄에서 이런 광경을 목격하게 될 줄이야"라며 놀라움을 표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지난해 경기도교육청이 '청소년 유해 성교육 도서'로 지정해 폐기를 권고한 500여 권 중 한강의 '채식주의자'가 포함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강민정 전 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한강의 ‘채식주의자'를 비롯해 노벨문학상 수상작인 주제 사라마구의 '눈먼 자들의 도시' 등이 포함됐는데요. <br /> <br />"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의 대표작을 폐기한 도서관이라니 촌극이 따로 없다" "노벨문학상 수상했으니 폐기했던 책 다시 사들일 거냐"는 비판이 일었지만, <br /> <br />"노벨문학상과 청소년 유해도서는 다르다, 학교 도서관에 두기에 적합한 수위는 아니라"는 반론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아시아 여성 작가의 첫 노벨상 수상 뒤엔 번역도 한몫 톡톡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인 번역가 데버라 스미스는 언어의 장벽을 허물어 세계 독자들에게 한강의 작품을 알렸는데요. <br /> <br />스미스는 한국어를 공부한 지 6년 만에 '채식주의자'를 영어로 번역해 한강과 맨부커상을 공동 수상했죠. <br /> <br />한국과 전혀 접점이 없었지만, 독학으로 한글을 배웠고 번역 초기, 낱말 하나하나 사전을 뒤져가며 번역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스미스는 원작의 정신에 충실한 것을 중요하게 여겨 "소주를 '코리안 보드카', 만화를 '코리안 망가' 식으로 다른 문화에서 파생된 것으로 쓰는 걸 반대한다"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'소년이 온다' 번역에도 '형'이나 '언니' 같은 단어를 그대로 썼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키워드는 '금배추 2050년까지?'입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01110415001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