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사실 그동안 수준 높은 한국 문학이 노벨문학상을 못 타는 이유, 언어의 장벽 때문이라는 평가가 많았죠. <br> <br>번역가 데보라 스미스가 그 벽을 넘었습니다. <br> <br>놀라운 건 독학으로 한국어를 배웠다는데요. <br> <br>단순한 번역이 아닌 번역 문학을 이뤄냈다는데, 원래 한글 문장을 영어로 어떻게 번역했는지 문예빈 기자가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[한강 / 작가 (지난 2016년, 맨부커 시상식)] <br>"저의 친구이자, 훌륭한 번역가인 데보라를 만난 것은 행운입니다." <br> <br>지난 2016년.<br><br>작가 한강은 채식주의자의 번역가인 데보라 스미스와 맨부커상을 공동수상했습니다. <br><br>영국 국적의 스미스는 200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한 뒤, 한국 문학 번역에 관심을 가졌고, 한국어 독학 3년 만에 <br>'채식주의자' 번역을 시작했습니다.<br> <br>한 작가의 문체에 매료된 스미스는 홍보·출판까지 도맡았습니다. <br><br>[데보라 스미스 / '채식주의자' 번역가(지난 2016년 인터뷰)] <br>"'채식주의자'는 한국 문학의 특별함을 알려주는 책입니다." <br> <br>스미스는 한 작가의 섬세한 문체를 잘 살려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 <br><br>'어떤 감정'이라고 압축된 표현을 여러단어로 풀어 설명하거나, 누군가에게 말하듯 문장으로 적힌 말들을 시적으로 표현하기도 했습니다.<br><br>다만, 얼굴과 팔을 발로 바꾼 것처럼 일부 뜻이 다른 단어를 쓰기도 하면서 오역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.<br><br>한 작가는 "소설을 전달하는 데 결정적 장애물이 되지 않았다"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> <br>[이구용 / '채식주의자' 해외 판권 관리자] <br>"원작에 충실하되 현지 독자들이 내 나라 작가가 쓴 문학 텍스트처럼 편리하게 읽고 공감할 수 있는 그런 언어로 표현된 번역(입니다)." <br> <br>스미스가 세운 출판사 틸티드 액시스 프레스는 SNS를 통해 노벨상 수상은 "번역 문학의 엄청난 승리"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문예빈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문예빈 기자 dalyebi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