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공원 뿐만 아니라 차도나 인도 가릴 것 없이 자전거족들이 아슬아슬하게 질주하는 모습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자전거 전용도로는 그렇다쳐도 보행로까지 침범해서 곡예운전을 하는 경우도 많은데, 그래선지 관련 사고가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마주오던 보행자를 피하려다 넘어진 자전거. <br> <br>또 다른 자전거 도로에서는 무리하게 역주행을 하다 부딪혀 넘어지고, 반대편에서 오던 자전거가 중심을 잃고 쓰러지면서 마주 오던 자전거와 크게 부딪히기도 합니다.<br> <br>한강공원으로 직접 나가봤습니다. <br> <br>속도를 줄이지 않고 달리는 자전거 탓에 사람들이 쉽게 길을 건너지 못합니다.<br> <br>폭이 2m가 안 되는 좁은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는 더 위험합니다. <br> <br>'주의해달라' 외쳐도, 뒤에서 오는 자전거를 의식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조심하세요." <br> <br>자전거 전용도로로 이어지는 곳에서는 속도를 높이는 자전거도 볼 수 있었습니다. <br><br>취재팀이 1시간 가량 지켜본 결과 보행자 사이로 과속하는 자전거, 휴대전화만 보며 걷는 보행자, 비좁은 자전거 도로폭 등이 사고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었습니다.<br> <br>[함태하 / 충남 태안군] <br>"(보행자들이) 이어폰 한 쪽에만 끼고 '비켜주세요' 라는 그 말을 잘 들었으면 좋겠어요." <br> <br>[최윤혁 / 경기 안양시] <br>"빨리 달리는 자전거가 엄청 많았어요. 부딪힐 뻔도 했고 넘어질 뻔도 했어요. 자전거가 아닌 차로 느껴져요." <br> <br>최근 2년간 발생한 자전거 사고를 분석한 결과 자전거와 차가 부딪히는 사고는 줄었고 사람과 부딪히는 사고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> <br>공유 자전거 수는 크게 늘어난 반면 도로 환경이나 시민의식은 쫓아오지 못한 탓으로 분석됩니다. <br> <br>서울시는 자전거 음주 라이딩이나 과속 등에 대한 단속을 이어갈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박찬기 <br>영상편집 이승은<br>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