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11일 한국은행이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.25%p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은행 창구에서 금리 인하를 체감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왜 그런 건지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실제로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전부터 시장금리가 이미 내려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9월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0.5%p 내리는 등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무르익으면서 시장금리는 이미 기준금리보다 낮아진 상태였는데요. <br /> <br />그래서 한국은행의 이번 인하분도 시장에는 선반영돼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은행이 시중금리를 섣불리 내리지 못하는 또 하나의 이유, 바로 가계부채입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이 가계부채를 관리한다며 은행권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인데요, <br /> <br />지난 8월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9조 7천억 원 증가하며 3년 1개월 만에 최대치로 치솟자,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요. <br /> <br />그러자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올리는 방식으로 대출금리를 높여 가계부채 총량을 관리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가 내려가더라도 이런 정책 압박이 계속된다면 대출금리는 당장 내려가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은행권 대출 규제가 이어지며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은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이 이를 막기 위해 내일 보험사, 저축은행 등 관계자들을 긴급 소집했고요, <br /> <br />이와 별개로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, 즉 DSR 규제를 확대 적용해 대출한도를 줄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1408402283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