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서 공세를 이어가는 러시아군이 최근 흑해 곡물 항로를 다시 틀어막을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3년 전처럼 세계 식량 가격이 다시 가파르게 오르지 않을까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8월, 우크라이나가 쿠르스크를 침공한 이후 러시아는 오히려 동부 전선에서 공세를 강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치열한 전투를 거듭하면서 우크라이나의 병참 기지인 포크로우스크를 향해 조금씩 전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시에 최대 무역항인 남부 오데사를 겨냥해서도 공습의 강도를 높여왔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지난달부터는 우크라이나 곡물을 수송하던 외국 선박을 직접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40여 개 나라에 밀과 보리, 옥수수 등을 공급하는 항로가 다시 봉쇄될 위기에 처했습니다. <br /> <br /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/ 지난 2일 : 러시아 테러리스트들은 항상 지역과 세계의 식량 안보를 목표로 삼아 왔습니다.] <br /> <br />러시아는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흑해의 모든 항구를 봉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식량 가격은 사상 최고치까지 올라갔고, 가난한 중동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큰 위기를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[맥시모 토레로 쿨렌 세계식량기구 수석 전문위원/ 2022년 4월 :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세계 곡물 수출의 30%, 해바라기유 수출의 63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로 다시 항구가 열린 뒤 러시아는 곡물 수송선에 대한 공격은 자제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2년 만에 다시 흑해 항로가 위협을 받으면서 식량 시장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공격은 한때 1/3까지 줄었다가 거의 회복된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에 타격을 주려는 의도로 풀이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곡물 시장에서 우크라이나와 경쟁하는 러시아는 자연스럽게 반사이익을 챙길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러시아는 지난해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고치인 8천7백만 톤의 밀을 수출하며 막대한 자금을 손에 넣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유투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투권 (r2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01501515896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