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해안포 포문을 개방한 데 이어 남과 북을 잇는 연결도로 폭파까지 이뤄지며, 긴장감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해 접경지역에 있는 주민들도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 표정우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인천 연평도에 나와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표 기자가 있는 곳은 어딘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저희 취재진이 나와 있는 곳은 연평도에서도 북한이 가장 잘 보이는 망향 전망대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 제 뒤로 보이는 바다가 북방한계선, NLL 해상인데요. <br /> <br />바다 위에는 북한의 섬들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지금 가장 선명하게 보이시는 섬은 황해도에 있는 석도로 제가 서 있는 곳과 3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데요. <br /> <br />그 뒤에 자리 잡고 있는 섬들인 갈도, 장재도는 비록 해무로 선명하게 보이진 않지만 거리가 10km가 채 안 되는 만큼 고조되는 남북의 긴장감이 직접 느껴질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은 지난 6월, 북한이 오물 풍선 도발을 시작하던 시기에도 연평도를 방문했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보다 남북 갈등이 더 깊어지며 주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진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최근 한국의 무인기가 평양까지 침투해 대북 전단을 뿌렸다고 주장하고, 지난 15일 남북을 잇는 동해선과 경의선 도로 일부 구간을 폭파했는데요. <br /> <br />또,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가 국경선 부근의 화력 부대들에게 완전사격 준비태세까지 지시한 상태라. <br /> <br />일촉즉발 위기 상황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이 최근 황해도 해안에 설치된 해안포 포문을 열었는데, 그곳에서 포문도 좀 확인이 되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북한은 이곳과 15km 정도 떨어진 개머리 해안과 대수압도 등에 설치된 포문을 열었는데요. <br /> <br />해상 위에 깔린 해무로 인해서 현재 포문은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14년 전 연평도 포격 사건 당시 개머리 해안에서 북한이 도발을 했던 만큼 해안포 포문 개방으로 인해 불안함은 더욱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연평도에 거주하는 주민은 2천여 명인데요. <br /> <br />옹진군은 평시에 저수조를 관리하고 소방과 전기 설비를 점검하며, 비상식량도 비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비상사태를 대피해, 연평도 안에 마련된 대피소 등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군과 경찰 등과 비상연락망을 구축해 비상시 즉시 주민들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표정우 (pyojw032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101711590270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