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'논두렁 잔디' 논란으로 대표팀 경기조차 못 치른 서울 월드컵 경기장.<br> <br>과연 상태가 얼마나 안 좋길래 선수들의 불만이 나오는 걸까요.<br> <br> 잔디 상태 개선을 위해서 경기장 수입 일부를 잔디 관리 예산으로 배정할 수 있도록 근거를 포함한 조례 개정안이 나왔습니다.<br> <br>김민환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달 K리그 경기가 열린 서울월드컵경기장, <br><br>초록색이어야 할 잔디 일부분이 얼룩덜룩 황톳빛을 띱니다. <br> <br>경기 도중 넘어진 선수 옆 잔디는 움푹 패였습니다. <br> <br>전체 그라운드를 봐도 녹색 잔디가 고르지 않은 모습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. <br> <br>빈 잔디를 메우기 위해 경기 직전에 착색 잔디를 뿌리다보니 색이 고르지 않은 겁니다. <br> <br>푹신한 잔디가 있어야 할 그라운드가 파여 있으니 경기 중 공도 제멋대로 튀고 선수들 부상 위험까지 커졌습니다. <br> <br>손흥민 선수조차 잔디에 아쉬움을 토로하며 열악한 잔디 환경과 적은 예산 논란은 더 커졌습니다. <br> <br>[오세훈 / 서울시장(지난 15일 국정감사)] <br>"잔디 관리에 만전을 기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인정하고요. 정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." <br> <br>서울시의회에서는 잔디 관리 예산을 의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조례 개정안이 발의됐습니다. <br><br>"체육시설의 관리와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해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"는 서울시장의 의무를 명시했습니다. <br><br>올해 서울시설공단이 축구경기와 가수 콘서트 등으로 벌어들인 돈은 110억 원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이중 잔디 관리를 위해 지출한 돈은 전체 수입의 2%인 2억 4천만 원 수준입니다. <br> <br>개정안이 통과되면 이 수입의 일부를 잔디 관리 예산으로 쓸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석동은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