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“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1만2천 명을 파병한다” <br> <br>우리 정부가 공식적으로 확인했습니다. <br> <br>이미 일부는 북한을 떠나 러시아 군부대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되는데요. <br> <br>그 중 특수부대 1500명은 이미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해 있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 긴급안보회의를 주재하며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. <br> <br>파병도 파병이지만 규모 자체가 한국전쟁 이후 최대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병력뿐 아니라 무기와 장비까지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김용성 기자의 보도로 시작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북한이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합니다. <br><br>정부 소식통은 “북한이 1만2000명의 북한군을 파병하기로 러시아와 합의했다”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북한이 러시아에 보내는 것은 병력 뿐 만이 아닙니다. <br><br>이 소식통은 “병력과 함께 무기와 물자도 실어보내는 것으로 알고 있다”고 전했습니다.<br> <br>북한군의 파병 근거는 지난 6월 북러가 맺은 ‘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’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이 조약은 “쌍방 중 어느 일방이 무력침공을 받을 경우 지체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”고 명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조약상 전투병과 무기, 물자를 모두 보낼 수 있는겁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안보회의를 주재하고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앞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“북한이 지상군, 기술자 등 여러 종류의 인력 1만 명을 준비시키고 있다”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