앞으로는 아픈 근육 주사 대신 호흡기로 빨아들이는 mRNA 백신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mRNA 백신용 전달체의 한계를 극복해 흡입 방식으로도 폐 질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전달체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나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로, 일명 '코로나 백신'으로 불리는 mRNA 백신. <br /> <br />mRNA 백신은 개발 속도가 빠르고 비용이 저렴한 데다가 기존 병원체 백신보다 안전성도 높아 신종 감염병 대응에 적합한 기술입니다. <br /> <br />세포 안으로 mRNA가 들어가야만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, 현재 쓰이는 전달체는 흡입 상태로 바꿨을 때 폐 미세환경에서 전달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KAIST 연구진이 호흡기로 흡입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mRNA 나노 전달체를 개발해 이러한 문제 해결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장민철 /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과정(제1저자) : 기존 백신 치료제 같은 경우에는 혈액 환경을 고려해서 디자인되었기 때문에, 폐 미세 환경에 적합한 저희 입자가 흡입 치료에 더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새로 개발한 나노 전달체는 흡입 가능한 방식으로 바꿔도 입자 구조를 그대로 유지합니다. <br /> <br />직접 빨아들일 수 있어 폐 세포에 빠른 흡수가 가능하고, 전달 효율 또한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이 개발한 나노 전달체는 이렇게 이비인후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네블라이저와 비슷한 장치를 이용해 코로 쉽게 흡입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물실험 결과, 기존 백신 방식보다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의 생성률을 26배까지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폐와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전달 효율이 높았고, 독성이 없어 생체 안전성도 높게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나노 전달체를 이용해 유전적 폐 질환 치료로도 적용 범위를 넓히는 등 후속 연구 계획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박지호 /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: 앞으로도 치료하기 힘든 다양한 폐 질환에 유전자 호흡 치료를 위해서 저희 입자를 활용하고, 치료 범위를 최대한 확장해 보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mRNA 전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한 이번 연구를 통해 신종 호흡기 감염병에 대비할 수 있는 새로운 백신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이번 연구는 나노기술 분야 국제학술지 'ACS 나노(Nano)'에 실렸습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나연 (pn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101903462343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