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가을이 실종되면서 월동 준비가 빨라졌습니다. <br> <br>금방 겨울이 올 것 같아서, 가을 옷 장사를 아예 포기해야하나, 고민이 큽니다. <br> <br>장호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백화점은 벌써 겨울나기 준비에 한창입니다. <br> <br>바람막이 같은 얇은 가을 옷들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두툼한 패딩이 차지했습니다. <br> <br>난방 용품이나 두꺼운 솜이불도 예년보다 일찍 내놨습니다. <br><br>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월동 준비하려는 소비자들이 늘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이번달 들어서만 여성 코트와 패딩 판매량은 170% 증가했고, 남성 재킷 판매량은 300%이상 급증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전기장판 같은 난방 용품은 10배 뛰었습니다.<br> <br>[권순식 / 일산 동구] <br>"먼저 움직여야 될 것 같아서. 사실 오늘 옷을 사려고 계획하지는 않았는데 창문 열어보니까 너무 추워서 아들 것도 좀 사주고 집사람 것도 사려고 같이 한 번 나왔습니다." <br> <br>편의점들도 핫팩과 스타킹 같은 방한용품 판매가 늘며 때아닌 겨울 특수를 맞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동대문 의류 시장 곳곳엔 팔리지 않은 가을 옷들이 한가득 쌓여 있습니다. <br><br>상인들은 가을 신상품이 재고 창고로 직행할 처지에 놓이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 <br> <br>[의류 가게 상인 A씨] <br>"(가을 옷) 재고 남아있지. (지금은) 기모같은 게 나가지. 걱정 많죠. 재고가 안 나야 되는데.“ <br><br>어쩔 수 없이 인근의 아울렛 매장으로 보내 손해를 조금이라도 줄여보려는 상인들도 있습니다. <br> <br>[의류 가게 상인 B씨] <br>"(가을 옷) 좀 싸게 넘기고. 싸게 팔아서 최대한 (재고가) 안 남게. 아울렛 쪽으로도 넘어가는 경우도."<br> <br>기후변화로 여름과 겨울이 길어지면서 가을 옷을 준비하는 의류업계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호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장호림 기자 holi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