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미국에 잠재성장률 첫 역전 당해…‘저성장 늪’ 우려

2024-10-20 53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나라의 잠재 성장률이 미국에 역전당했습니다. <br> <br>경제 규모가 우리보다 훨씬 큰 미국에 뒤쳐졌다는 건, 우리 경제의 역동성이 사그라들고 있단 뜻입니다. <br> <br>이준성 기자입니다. <br><br>[기자]<br>빠른 인구 감소로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미국에 처음으로 추월당했습니다. <br><br>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 추정한 지난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2.0%. <br> <br>경제 규모가 15배나 큰 미국보다 낮은데, 이는 지난 2001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처음입니다.<br><br>OECD는 지난해만 해도 올해 들어서야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미국을 밑돌 것이라 예측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미 작년부터 역전됐다고 발표한 겁니다.<br><br>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 성장이 얼마나 가능한지를 가늠하는 '성장 잠재력 지표'로 활용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세계 1위 경제 대국 미국보다 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우리나라 경제가 '저성장의 늪'에 빠지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. <br> <br>[정세은 /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미국은 우리보다 출산율도 높지만 계속 이민자들이 들어오고, (한국은) 생산가능인구가 정말 빨리 줄고 있거든요. 앞으론 더 심각해진단 거죠." <br> <br>문제는 잠재성장률 추락 속도가 전 세계 주요국 중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가파르다는 점입니다. <br><br>2001년 5.4%에서 2013년 3.5%로 떨어졌고, 그 이후에도 10년 연속 하락했습니다.<br> <br>'저성장의 늪'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구조개혁이 절실한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(지난 11일) <br>"저출산 고령화 문제 등 구조 조정하지 않으면 저희들 예측으로라면 잠재성장률이 몇십 년 뒤에는 거의 0%대 수준으로 갈 위험이 (있다)." <br> <br>전문가들은 저출산·고령화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, 글로벌 선도기업 부족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준성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br /><br /><br />이준성 기자 jsl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