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남아시아의 대국, 인도네시아의 신임 프라보워 대통령이 오늘 취임했습니다. <br /> <br />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전임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해온 수도 이전 계획도 새로운 고비를 맞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자칫 사업이 좌초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두 달 전, 인도네시아의 새로운 수도 예정지인 누산타라에서 첫 독립기념일 행사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2년 전만 해도 열대 밀림이었던 자리엔 웅장한 건물이 들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속사정은 복잡합니다. <br /> <br />전체 공정률이 15%에 불과해 공식적인 천도 발표는 기약 없이 미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[조코 위도도 / 인도네시아 전 대통령 (지난 7월) : 수도 이전은 15∼20년이 걸리는 거대한 프로젝트입니다. 1∼2년짜리 계획이 아닙니다.] <br /> <br />인도네시아가 천도를 결심한 건 현재의 수도, 자카르타가 지속가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천백만 명이 거주하는 거대 도시, 자카르타는 해마다 8cm씩 가라앉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수를 계속 뽑아내면서 지반이 무너지는 데다 기후 변화로 해수면까지 빠르게 상승하면서 북부 지역부터 침수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거대한 방파제를 세워 버티고 있지만, 이대로 가면 2100년쯤엔 도시의 절반이 가라앉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대기 오염과 차량 정체도 한계 수준에 이르렀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조코 위도도 정부는 천2km 떨어진 밀림 속에 서울 면적의 4배가 넘는 거대한 수도를 건설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자금을 제때 조달하지 못해 공사는 지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애초 43조 원이 넘는 비용의 80%를 민간 투자로 충당할 계획이었지만, 투자 유치 실적은 아직 미미한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정치적인 반대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신임 프라보워 대통령도 원칙적으론 수도 이전에 찬성한다는 입장이지만, 선거 운동 때와는 달리 미온적인 태도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[프라보워 수비안토 / 인도네시아 대통령 (지난 8월) : 다른 나라의 수도들처럼 수십 년이 걸리더라도 수도 이전은 반드시 끝낼 겁니다.] <br /> <br />프라보워 대통령의 공약인 어린이 무상 급식을 예정대로 추진할 경우, 수도 이전 사업에 대한 재정 투입이 중단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유투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임현철 <br />디자인;이원희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투권 (r2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02022121198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