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누군가는 무심코 버리는 라면봉지가 오늘은 당당히 전시장에 걸렸습니다. <br> <br>종류만 3백 종이 넘는데요. <br> <br>김대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벽에 걸린 액자마다 정성스럽게 라면봉지가 담겨 있습니다. <br> <br>국내 대표적인 라면의 봉지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차례차례 전시됐습니다. <br> <br>다시마, 양파라면, 처음 나온 짜장라면 모습까지. <br> <br>지금은 사라진 컵라면의 뚜껑 포장도 전시장 한 켠을 채웠습니다. <br> <br>[이윤담 / 경북 구미시] <br>"이런 것도 있었나? 그냥 신기해요.제가 태어나기 전 것들도 보여서 집 가면 아빠한테 물어봐야겠다…" <br> <br>[조은선 / 대전 서구] <br>"과거에는 훨씬 더 못 보던 제품들도 많은 것 같고 변천사가 많이 나타나서 정말 좋았던 것 같아요." <br> <br>전시된 라면봉지는 이성철 씨가 40년간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수집한 겁니다. <br> <br>[이성철 / 라면봉지 수집가] <br>"뭐 집도 가난해가지고 우표 살 돈도 없고 그래서 라면 수집을 선택한 게 지금까지 이렇게 계속 이어져 온 겁니다." <br><br>6천2백여 종의 라면봉지 가운데 300여 종이 이번에 전시됐습니다. <br> <br>1960년대 밀가루 소비를 늘리기 위해 출시된 우리 라면은 이제 전세계로 수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초기 수출용 라면봉지는 구하기 어려운 희귀템입니다. <br> <br>[이성철 / 라면봉지 수집가] <br>"수출용을 잘 모르거든요. 국내에서도 판매가 되지도 않고요. (관람객들이) 그래서 좀 수출용을 한 번 더 눈여겨보면…" <br> <br>라면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전시회는 다음달 3일까지 열립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대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영래 김건영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김대욱 기자 aliv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