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 노인의 기준은 65세 이상이죠. <br> <br>대한노인회장에 취임한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"법적 노인 연령을 75세로 높이자"고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고령화 사회, 적절한 노인의 기준 나이는 몇 세일까요. <br> <br>홍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이중근 대한노인회장이 현재 65세인 법적 노인 연령을 75세로 높이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기준 연령이 높아지면 65세부터 받는 각종 연금 수령과 경로 우대 적용 시기도 늦춰지기 때문에 정년 연장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<br>66세부터는 임금의 40%를 받고 75세에는 20% 정도를 받으며 계속 일하게 하자는 겁니다.<br> <br>[이중근 / 대한노인회장(부영그룹 회장)] <br>"65세에서 75세 정도는 소위 노인이 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본인의 준비 단계에서 노인 시대를 경험하게 되고 사회적으로 완충 역할을 하면 좋겠다…" <br><br>올해 7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1천만 명을 넘어서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입니다. <br><br>2050년이면 노인인구가 2천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, 생산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서도 노인 연령을 매년 1년씩 단계적으로 높이자는 제안입니다. <br><br>이 회장이 창업주인 부영그룹은 이미 75세까지 임금피크제를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.<br><br>우리나라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올해 2분기에 사상 처음 청년층을 넘어섰습니다.<br> <br>노후 소득 불안을 해소하려는 고령층이 늘어난건데, 취업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. <br> <br>[오윤철 / 만 66세 (58년생)] <br>"75세까지 충분히 가능해요. 더 일하고 싶은데 (65세가 되면) 일단 나가라고 하니까 자리는 없고…사회적 합의에 의해서 임금피크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면 좋겠다." <br> <br>평균 수명이 늘어나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만큼 노인 연령 기준에 대한 논의가 불 붙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희현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