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러시아가 오늘 북한군 파병과 관련해 첫 공식 입장을 냈습니다. <br> <br>"러시아와 북한의 협력은 국제법 틀 안에서 이뤄지고 있고 한국의 안보 이익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고 일방적 주장을 폈습니다. <br> <br>나토 사무총장은 국제법을 정면으로 위반했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. <br> <br>김민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러시아가 "한국의 안보이익에 반하지 않는다"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사흘 전 국정원이 북한군의 파병을 공식 확인한 이후 러시아가 공식 반응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 <br>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은 오늘 오후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러시아 대사를 초치해 <br><br>“파병까지 이어진 러북 군사밀착은 국제 사회의 중대한 안보 위협이고 안보리 결의 위반”임을 강조하며 <br> <br>“즉각적인 북한군 철수 및 관련 협력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다”고 밝혔습니다.<br><br>이에 대해 지노비예프 대사는 약 2시간 뒤 SNS를 통해 "러시아와 북한 간 협력은 국제법 틀 안에서 이뤄지고 한국의 안보 이익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"며 "한반도 긴장 고조 원인에 대해 러시아와 한국이 상반된 입장을 갖고 있다"고도 밝혔습니다.<br><br>외교 소식통은 “러시아가 사실상 북한군 파병 사실을 시인한 것과 다름없다”고 평가했습니다.<br><br>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특수 부대를 이끄는 크로테비치 참모장은 SNS를 통해 "북한은 가장 전투력이 강한 부대를 우크라이나 전쟁에 보냈다"고 밝히며 한국 정부의 지원을 당부했습니다.<br><br>윤석열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의 마르크 뤼터 사무총장과 전화 통화를 갖고 “나토 회원국들과 실질적인 대응조치를 함께 모색해 나가겠다”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뤼터 사무총장도 "국제법과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것"이라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우리 국방부는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해 살상 무기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