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증거가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동부 격전지에선 북한 인공기가 펄럭이는 모습 마저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김여정 부부장은 한국과 우크라이나를 싸잡아 비판했고, 유엔 총회의 북한 대표부는 북한군 파병을 근거없는 소문이라고 부인했습니다.<br> 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약 2시간 전 발표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대남 담화의 핵심은 한국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비판입니다. <br><br>김 부부장은 “핵보유국을 상대로 감행한 군사적 도발은 한국과 우크라이나의 미친 것들을 제외하고는 없을 것”이라며 두 나라를 “미국이 손때 묻혀 길러낸 버릇 나쁜 개들"이라고 싸잡아 비난했습니다.<br> <br>양국을 동시에 비판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전문가들은 우리 정부의 북한군 파견 관련 발표에 불쾌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김 부부장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사실을 직접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그럼에도 파병 관련 정황은 속속 포착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엔 러시아 점령지인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에 러시아 국기와 함게 북한 인공기가 꽂혀 있는 모습이 친러시아 성향 소셜미디어 계정으로 공개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한 북한 측 대표부는 파병설을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 관계자] <br>"우리 북한의 국가 이미지를 더럽히려는 근거 없는 뻔한 소문에 대해 언급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." <br> <br>이에 대해 서방 국가들은 국제법 위반이라며 맞섰습니다. <br><br>유엔 대북제재결의에 파병이 명시적으로 언급돼 있진 않지만 무기 및 군사협력 관련 세 건에 위반될 소지가 크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<br>통일부 당국자는 “북러 간 불법적인 무기 거래가 이뤄진 바탕에서 파병으로 이어졌는데 이러한 군사협력 전반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”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