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응해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할 것인지와 관련,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4일 “모든 옵션이 테이블에 올려 있다”는 취지로 답변했다. <br /> <br /> 이날 국회에서 각각 진행된 외교통일위원회·국방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는 북한군 파병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의가 쏟아졌다. <br /> <br /> 이날 외통위에서 조 장관은 '우크라이나 전쟁은 우리의 직접 이해관계도 아닌 전쟁'이라는 이용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을 받고 “결국은 우리 안보에 위협 요인으로 돌아올 텐데 우리가 손 놓고 앉아 있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”라고 반박했다. <br /> <br /> 이에 이 의원이 ‘정부가 살상용 무기를 포함해 지원해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미냐’고 되묻자 조 장관은 “모든 가능성과 옵션이 테이블 위에 올려 있다는 메시지”라며 “그 다음에 우리가 무엇을 할 건지는 러시아가 어떻게 나오느냐, 북한이 무엇을 받느냐 등 모든 세부적인 진전 사항에 달려 있다는 의미”라고 설명했다. <br /> <br /> 다만 정부가 군사 요원을 우크라이나 현지에 파견할 예정이라는 일각의 보도에 대해선 “사실이 아니다”라고 선을 그었다. <br /> <br /> 이어진 ‘북한의 파병이 정부가 설정한 (무기 지원)레드라인을 넘은 것이냐’라는 김태호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조 장관은 “정부의 레드라인이 어디인지 공개적으로 밝히는 건 좋은 전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”고 답변했다. <br /> <br /> 국감에선 북한군의 파병 결정을 중국이 용인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다. 이에 조 장관은 “이 과정에서 중국은 배제됐을 것으로 생각한다”고 평가했다. 이어 “북한이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하면서까지 러시아에 왜 올인하는가 하는 의문이 있다. 중국이 적극적으로 도와주지 않아서 러시아에 매달리는 것 아닌가 싶다”며 “그래서 더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86808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