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이 북한군 파병에 대한 조치로 우크라이나에 공격용 살상무기 제공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파병 대가로 북한군 한명이 받는 월급은 우리 돈 275만 원 정도로 국정원은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수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이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도발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그동안 우크라이나에 비살상 무기 지원 방침을 유지해온 것에서 벗어나 상황에 따라 공격용 무기 지원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강조 했습니다. <br> <br>[한국-폴란드 공동언론발표] <br>"살상 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러한 부분에서도 더 유연하게 북한군의 활동 여하에 따라 검토해 나갈 수 있습니다." <br> <br>그동안 침묵을 지키고 있던 미국 백악관도 "상황을 공유할 때가 됐다"면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을 처음으로 공식 확인했습니다. <br> <br>[존 커비 / 미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] <br>"우크라이나에 맞서 싸우기 위해 (북한군을) 배치한다면 우리도 공정히 그들(북한군)을 표적으로 보겠습니다." <br><br>미 하원 정보위원장도 북한군이 실제 참전할 경우 "미국이 북한군에 직접적인 군사 행동을 취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정부 관계자는 “12월까지 파병될 북한군의 총 규모가 약 1만900명으로 보고 있다”며 “파병군 1인당 월 2000달러, 우리 돈 약 275만 원을 받을 것”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또 “앞으로 파병될 남은 인력은 해상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경로로 이동할 것”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러시아는 북한군 파병 보도에 대해 "허위 과장 정보"라며 오히려 한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면 가혹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> <br>러시아 하원은 군사 지원 내용이 담긴 러북 간 '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'을 오늘 만장일치로 비준하며 러북 밀착 행보를 가속화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박형기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