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실전 투입이 임박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현재 북한군 수천 명이 속속 격전지인 쿠르스크 지역에 집결하고 있습니다.<br> <br> 북한군이 직접 교전을 벌일 수 있다는 전망이 점점 더 현실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약 70년 전 우리를 향했던 북한군의 총구가 이제 우크라이나인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오늘의 첫소식, 최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최대 격전지, 쿠르스크 지역에 집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미 뉴욕타임스는 우크라이나와 미국 당국자들을 인용해 "23일 첫 번째 북한군이 쿠르스크에 온 이후 매일 수천 명씩 도착하고 있다"며 "내일까지 최대 5000명의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에 모일 것"이라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쿠르스크는 8월 우크라군이 급습해 일부 지역을 점령한 이후, 양국 간의 치열한 교전이 연일 벌어지는 전투 지역으로, 파병된 북한군의 실전 투입이 임박했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뉴욕타임스는 또 폭풍군단으로 불리는 특수전 정예 병력으로 구성된 북한군이,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형 수송기로 러시아 서부 군공항으로 이동한 이후, 쿠르스크로 향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북한군이 아직 실전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고,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북한군 전투 투입이 임박했다는 주장을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"곧 북한군이 전장에 나와 우크라이나와 싸울 겁니다. 우크라이나는 유럽에서 북한에 맞서 싸워야 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지난주 북한군 약 3000명이 러시아로 이동했다고 발표한 우리 국정원은 12월까지 순차적으로 1만여 명의 병력이 추가로 파병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