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<br>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동향이 속속 파악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쿠르스크로 간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국경과 불과 40km 떨어진 임시 막사에서 전투 대기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우리 국정원도 파병 병력이 최전선으로 이동 중이며 그 규모가 3천 명 보다 많을 수 있다고 확인했습니다. <br><br>전투 투입이 임박한 상황, 지금 러시아와 북한 사이엔 최고위급 인사가 수시로 오가고, 북한 내부에서는 파병에 반발하는 주민과 군인가족 동요 움직임도 감지됩니다. <br><br>오늘 집중 보도해 드리겠습니다. <br><br>파병된 북한군 소식으로 최수연 기자가 문을 엽니다. <br><br>[기자]<br>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최대 격전지 쿠르스크 지역 내에 집결해 전투 준비 태세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뉴욕타임스는 우크라이나 당국자를 인용해 "현지시각 어제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에 배치됐고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40~65km 정도 떨어진 임시 막사에서 생활하고 있다"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파견된 북한군이 쿠르스크 내에서도 국경과 가까운 곳에 주둔하는 등 실전 투입이 임박했다는 겁니다. <br><br>우크라이나 당국도 "북한에서 온 3000명이 넘는 용병들이 조직화를 시작했다"며 "여러 훈련장에서 야간 훈련을 받고 있다"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이 당국자는 북한군이 언제 전투에 투입될 지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전했습니다. <br><br>우리 국가정보원도 오늘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의 병력 이송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현재까지 파병 규모도 약 3000명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선원 / 국회 정보위 민주당 간사] <br>"지금까지 3천여 명이 파병됐습니다. 즉, 극동 러시아에 파병됐고 이동 중에 있을 것으로 보고, 3천 명보다 더 많은 숫자가 파병됐을 수도 있습니다." <br> <br>국정원은 북한군의 쿠르스크 지역 배치 여부에 대해서는 첩보를 입수해 확인하는 단계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철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