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은 내부적으로는 러시아 파병 함구령을 내린 분위기입니다. <br><br>“왜 남의 나라 전쟁에 희생해야 하느냐”는 주민들의 동요가 꽤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<br>강제 차출의 공포감도 크고요. <br><br>병사 가족들에게는 훈련 간다고 거짓말까지 시키고 있다고 합니다. <br><br>김재혁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북한이 러시아 파병 문제를 감추기 위해 군 장교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시켰다고 국정원이 밝혔습니다. <br> <br>[이성권 / 국회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] <br>"군대 비밀누설을 이유로 장교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한편 차출 부대 소속 병사들은 입단속을 하고 파병 군인 가족에겐 훈련 간다고 거짓 설명하는 정황도 포착되었다고 합니다." <br> <br>파병 사실 유출 확산을 의식해 내부 보안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하지만 북한 당국의 차단 조치에도 불구하고 북한 주민들은 강제 차출에 대한 두려움으로 동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'왜 남의 나라를 위해 희생하냐'는 여론이 돌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가뜩이나 지난 7월 압록강 수해로 인한 피해가 아직 복구되지 않은 상황에서 파병 소식이 민심 동요에 불을 지폈습니다. <br><br>한 탈북인은 “가뜩이나 수해 복구에 식량 사정으로 아비규환인데 파병소식으로 북한 전체가 부글부글 끓고 있다"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이를 잠재우기 위해 지난 21일 김정은이 자강도 피해복구현장을 찾고, 노동신문은 '김정은 중심으로 단결해야한다"는 메시지를 연일 내놓고 있습니다. <br> <br>추가 파병까지 언급되면서 북한 내 주민들의 동요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