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군, 파병이 아니라 용병 아니냐는 시각도 있었는데요. <br><br>북한 병력엔 고위급 군 장성도 포함된 걸로 파악됐습니다. <br><br>군인뿐 아니라 노동자도 수천 명 러시아에 파견된 것으로 드러났는데요. <br><br>그만큼 러북 동맹이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송진섭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북한군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최대 격전지 쿠르스크 지역으로 이동 중인 가운데 우리 정보 당국은 이 무리에 고위급 군 장성도 포함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그 중 파병 북한군의 현지 총 책임자로 거론됐던 김영복 북한 총참모부 부총참모장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측근 중 한 명인 김영복이 사령관으로서 파견됐다면 이를 보좌하기 위한 여단장급 군관들이 함께 이동했을 걸로 분석했습니다. <br> <br>[홍민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] <br>“김영복이 사령관으로서 갔고 주요 참모장들이 몇 명 있을 텐데 아마 소장급 정도는 될 것이란 말이에요. 이들이 갔을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(싶습니다.)” <br> <br>또 러북 핵심 안보 관계자들이 긴밀히 소통해온 정황도 드러났습니다. <br><br>한 정보 소식통은 “지난 23일과 24일 러시아 모스크바와 평양을 오간 러시아 정부 특별기에 러시아의 안보 핵심 책임자인 세르게이 쇼이구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탑승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”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당시 러북은 북한군의 파병에 대한 국제 사회 반발 대응을 논의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양측이 파병 사실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 시작한 것도 이 시점부터입니다. <br><br>[블라디미르 푸틴 / 러시아 대통령 (현지시각 24일)] <br>"북한과 무엇을 어떻게 할지는 우리가 알아서 할 일입니다." <br> <br>정보 당국은 이와 함께 북한이 올해 러시아에 파견한 노동자 수도 4000여 명에 달한다며 광물은 물론이고 북한이 국제 제재를 받고 있는 금수품 교역에도 이면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송진섭 기자 husba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