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세자금대출 보증을 해주는 주택도시보증공사, HUG의 자본 확충을 위한 5천억 원 규모 채권 발행 일정이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이 제동을 걸었기 때문인데 부처 간 엇박자 논란에다 자칫 잘못하면 전세보증 차질로 이어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세대출을 받을 때 보증을 서주는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 주택도시보증공사, HUG. <br /> <br />하지만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 전세금을 돌려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위변제액이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사기 여파로 인해 지난해 대위변제액이 3조 원이 훌쩍 넘더니 올해는 9월 말에 이미 3조 원을 넘어선 상황. <br /> <br />하지만 집주인으로부터 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하면서 손실 누적으로 인해 HUG의 보증 발급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HUG는 5천억 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해 자본확충에 나서기로 한 상황. <br /> <br />하지만 금융당국이 관계부처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며 절차 중단을 통보해 일정에 차질이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죄는 와중에 국토부가 정책대출인 디딤돌 대출 규제를 놓고 오락가락 행보를 보인 데 이어 또다시 비슷한 엇박자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[권대중 /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 : 부처 간 협의체가 강화될 필요가 있습니다. 급박하게 돌아가는 시장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회의 말고도 언제든지 소통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지 않나 싶어요.] <br /> <br />엇박자 논란으로 시장 혼란이 증폭됐다는 지적이 일자, 국토부는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가 긴밀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병환 금융위원장도 HUG 자본확충 관련 일정이 중단된 건 정책대출 관리 차원이라는 지적과는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환 / 금융위원장 : 유가증권 신고서를 내는 과정에서 충분한 정보를 서로 협의가 돼서 안이 만들어지면 그러면 HUG의 자본확충, 건전성 제고에는 차질이 없도록 그렇게 (협의해 나가겠다.)] <br /> <br />연말까지 HUG가 자본금을 늘려놓지 않으면 내년부터 신규 보증 발급 등 관련 업무에 큰 차질을 빚을 거란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, 관련 부처 간 소통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;고민철 <br />영상편집;이은경 <br />디자인;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3019085091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