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통령실은 북한군의 전투 참여가 확인될 경우 다음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에 전황분석팀 파견 필요성도 언급했습니다. <br><br>북한군이 실전경험을 쌓는 자체가 우리 안보에 위협이 되기 때문이라는데, 북한군의 이탈, 전장에서 귀순할 경우 과정 참여도 열어놨습니다. <br> <br>안보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대통령실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활동과 전력 등을 분석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현지에 우리 인력 배치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. <br> <br>모니터링 팀이든, 전황분석팀이든, 북한군의 전황을 살필 팀 구성을 준비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"북한군이 현지에서 실전 경험과 현대전 기술을 쌓는 것 자체가 우리에겐 군사적 위협"이라며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. <br><br>[제46회 국무회의(어제)] <br>"러시아와 북한의 불법 군사 야합은 우리 안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엄중한 사안입니다." <br><br>북한군의 심리적 동요나, 이탈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 배치도 검토할 사안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전장에서 북한군이 귀순할 경우 현지에서 우크라이나군과 협조할 가능성을 열어둔 겁니다. <br><br>이번주 조율을 시작하는 우크라이나 특사 방한 때 구체적으로 논의할 예정입니다. <br><br>대통령실은 북한군 3천 명 정도가 교전지역 근처로 이동한 사실을 확인했다며, 북한군이 참여한 전투가 개시될 경우 예고했던 단계적 조치의 다음 순서를 보게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> <br>[김태효 / 국가안보실 1차장 (지난 22일)] <br>"정부는 북한의 전투 병력 파병에 따른 러-북 군사 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단계적인 대응조치를 실행해 나갈 것입니다." <br> <br>구체적 조치를 밝히지는 않았지만, 방어용 무기 지원 가능성은 닫아두지 않았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태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안보겸 기자 ab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