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군은 러시아에 포탄을 포함해 많은 무기를 보냈죠.<br><br>북한군 파병 이후 우리도 우크라이나에 무기 맞대응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데요. <br><br>1순위로는 대공 방어용 호크 미사일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김용성 기자입니다. <br> <br>[기자]<br>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책으로 방어용 무기 지원을 검토 중인 가운데 구형 방공 미사일 ‘호크’가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호크 미사일은 신형 '천궁' 미사일이 도입되면서 3년 전 퇴역했지만 방공 무기가 시급한 우크라이나에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[유용원 / 국회 국방위원(국민의힘)] <br>"(호크는) 퇴역한 상태기 때문에 우리 군에서 좀 더 여유 있게 우크라이나에 제공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" <br> <br>이에 대해 우리 정부 관계자는 "우크라이나 지원책의 아이디어 중 하나일 수 있다"며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.<br><br>1960년대에 우리 군이 도입한 호크 미사일은 중거리 지대공 유도미사일로, 주로 적의 전투기 등을 격추하는 데 쓰입니다. <br><br>유효 사거리 40km에 최고속도는 마하 2.8 수준입니다. <br> <br>앞서 우크라이나 정부도 우리 정부에 방공무기 지원을 호소한 바 있습니다. <br><br>[드미트로 포노마렌코 /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 (지난 2월)] <br>"방어용 무기가 필요합니다. 러시아의 잦은 미사일과 드론 공격에 시달리고 있는 시민 목숨을 구하기 위해서입니다." <br> <br>대통령실 관계자도 "무기 지원이 양국 사이에서 논의된다면 1차적으로 방어 무기가 거론되는 것이 상식적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다만 우리 정부는 러북 군사 협력의 양상에 따라 비살상 무기 지원 방침 유지를 깨고 공격용 무기 지원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