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은 동시에 한국어 열공 중입니다. <br><br>한쪽은 한편으로 한쪽은 적군으로 북한군과 소통해야 하니까요. <br> <br>관련 영상이 공개되고 있는데 양측 모두 속성 한국어 학습에 진땀을 빼는 모습입니다. <br><br>문예빈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우크라이나어 문자 옆으로 친숙한 한국어가 보입니다. <br> <br>소리 나는 그대로 우크라이나 알파벳으로 적어놓은 한국어 안내본입니다. <br><br>우크라이나 군인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휴대전화 화면을 확대해가며 보다 어설픈 발음으로 한국어를 읽어봅니다. <br><br>[우크라이나군] <br>"무기 버려. 손들어. 저항하지 마." <br> <br>전쟁 중 북한 병사를 만났을 때 해야 할 말을 직접 한국어로 발음해보며 연습하는 겁니다. <br><br>이어서 긴 문장도 읽어봅니다. <br> <br>[우크라이나군] <br>"우크라이나는 제네바 협약 준수하고 있어." <br> <br>북한군과 마주치거나, 포로로 생포했을 때를 대비해 한국어 매뉴얼을 만든 것으로 추정 됩니다. <br><br>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급하게 결정되면서 '소통'이 전쟁의 승패를 가를 중요한 요소로 떠오른 겁니다. <br><br>러시아군도 북한군과의 작전 소통을 위해 학습에 나섰습니다. <br><br>러시아군에게 배포된 한국어 군사 용어 책자에는 '이름이 뭐야?', '어느 부대에서 왔어?' 와 같은 기본 회화에 이어, '공격해!', '엎드려!' 등 전장에서 쓰이는 표현도 담겨있습니다.<br> <br>이전에 공개된 영상에서도 러시아군이 한국어가 가득 적힌 종이를 쥔 채, 생활 회화를 연습하는 모습이 담기기도 했습니다.<br><br>북한군 역시 급히 파병되면서 언어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<br>우리 정보당국은 "러시아군이 북한군에게 100여 가지 러시아 군사 용어를 가르치고 있지만, 소통 문제 해결이 불투명한 상황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문예빈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문예빈 기자 dalyebi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