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이미 교전을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 <br><br>아직 우리 정부는 교전 사실까진 확인하지 않았지만 선발대가 전선에 투입됐을 가능성은 부인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북한군 파견 규모는 최소 1만천명 이상이고, 그 중 3천 명이 교전지역 근처로 이동한 것까지는 한미 정보로 교차 확인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보통 파병해도 현지에서 한 두 달 적응 훈련을 하는게 보통인데 가자마자 전선 투입은 그만큼 급박한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러시아 전선에 투입된 북한군 소식, 송진섭 기자가 시작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 영토에도 들어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 됐습니다.<br><br>미국 유력 매체인 CNN이 두 명의 서방 정보당국를 인용해 “소수의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 내부에 진입했다”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CNN은 “침투 병력 규모는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”이라며 “북한군 중 상당수가 이미 작전을 수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”고 덧붙였습니다.<br> <br>북한군이 현지 최대 격전지인 쿠르스크주에 배치된 데 이어 국경을 넘어 전장에 투입됐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 <br>우리 국회에서 열린 국방정보본부 국정감사에서도 일부 선발대를 중심으로 한 전선 투입 가능성이 제기 됐습니다. <br><br>[이성권 / 국회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] <br>“쿠르스크 등 전장에 이동 임박해 있는 것은 사실이다. 일부 선발대가 전선에 투입됐을 개연성은 있어 보인다(고 답변했습니다)” <br> <br>우리 정부는 ‘특수작전통’ 김영복 북한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등 폭풍군단 지휘관이나 기술 인력 일부가 선발대에 포함돼 현장에 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우리 군은 파병된 북한군이 현지에서 언어와 지역 이해에 어려움을 겪을 걸로 보인다며 독자적 전투 수행보다는 러시아군과 ‘편제’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송진섭 기자 husba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