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의 러시아 파병 소식으로 이어갑니다.<br> <br>미국 정부가 격전지인 쿠르스크에 북한군 8000명이 파병됐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구체적인 파병 규모를 처음 언급한 건데요.<br> <br>병사들을 사지로 내몰고 있다며 푸틴에게도 맹공을 퍼부었습니다.<br> <br>이솔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현지시각 어제 미국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한미 외교·국방 장관회담이 열렸습니다. <br> <br>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러시아 쿠르스크에 파병된 북한군 병력 규모가 8000명에 달한다며 최전선 작전 투입이 임박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> <br>[토니 블링컨 / 미국 국무장관] <br>"러시아는 북한 군인들에게 포병, 드론, 기본 보병 작전 등을 훈련시키고 있고 이는 전선 작전에 투입할 의도가 있음을 시사합니다." <br> <br>또 '고기 분쇄기'라는 다소 강한 표현까지 언급하며, 궁지에 몰린 러시아가 북한군을 전쟁에 끌어들였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토니 블링컨 / 미국 국무장관] <br>"푸틴은 자신이 만든 '고기 분쇄기'에 러시아 군인들을 무모하게 던져 넣고 있습니다. 러시아는 하루에 1200명의 사상자를 내고 있습니다." <br> <br>김용현 국방장관도 이 자리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"1000만 발에 가까운 포탄과 미사일 1000여 기를 지원한 걸로 파악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한미의 압박에도 러시아는 입을 굳게 닫고 있습니다. <br> <br>비슷한 시각 뉴욕에서 열린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미국 대표가 8000명을 언급하며 러시아를 추궁했는데, 러시아 대표는 아무런 말 없이 당황한 표정만 보였습니다. <br><br>[로버트 우드 / 유엔 주재 미국 차석대사] <br>"러시아는 여전히 북한군이 러시아에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는 겁니까?" <br> <br>이런 가운데 조금 전 러시아 외무부는 모스크바를 찾은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을 시작했다고 밝히며 러북 밀착 행보를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