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 거래가 모두 줄었습니다. <br> <br>대출 규제 영향으로 보이는데, 그래서인지 월세로 몰리는 추세입니다. <br> <br>배정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마포구의 '초역세권'으로 꼽히는 3885세대 규모의 아파트 대단지입니다. <br> <br>올해초부터 거래가 많고 가격이 높았던 지역이지만 가을 이사철에도 매물이 빠르게 쌓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아파트는 지난 여름만해도 한 달에 20건이 넘는 매매 거래가 이뤄졌는데요. <br> <br>9월부터는 거래 건수가 한 자릿수로 급격히 줄어들면서 사실상 '거래 절벽'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> <br>[A 씨 / 공인중개사] <br>"(매물이) 지금 매매가 173개, 그 때는 한 130개. 왜냐면은 지금은 안 팔리니까." <br> <br>실제로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한 달 동안 약 27.9% 급감했습니다. <br> <br>올해 들어 최저치입니다.<br> <br>상황이 이렇다보니 서울 아파트 매물 자체도 석 달 사이, 1만여 채나 늘었습니다.<br> <br>거래 감소 원인은 정부의 '대출 조이기'로 꼽힙니다. <br> <br>늘어나는 가계부채를 잡고자 시중은행들은 대출금리를 올렸고, 지난 9월부터는 2단계 스트레스 DSR까지 시행됐습니다. <br> <br>전세대출규제까지 강화시키면서 자금 마련에 한계가 생긴 겁니다. <br> <br>결국 월세로 수요가 늘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.<br> <br>강남구에 있는 이 아파트는 석 달 사이 월세가격이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. <br> <br>[B 씨 / 공인중개사] <br>"월세 계약이 8월 보다는 좀 올랐어요. 그 때였으면 40만 원 정도는 빠졌겠죠." <br> <br>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인하됐지만 2금융권까지 확대되는 대출 규제가 거래 발목을 잡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불어나는 가계대출을 위한 규제가, 월세시장으로의 풍선효과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정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연수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><br /><br /><br />배정현 기자 baechewi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