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은 명태균 씨와의 육성 통화 공개에 따른 후폭풍 속에서 오는 10일, 임기 반환점을 맞게 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정치 현안뿐 아니라 북한의 러시아 파병과 미국, 일본의 정상 교체 등 변수가 많아 이번 달 내내 윤 대통령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를 거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22년 5월 10일 취임한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달 10일, 임기 반환점을 돕니다. <br /> <br />연금, 의료 등 4대 개혁과 탈원전 폐기, 한미동맹 강화와 한일관계 개선 등 굵직한 성과를 조명할 시기지만, 상황은 녹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윤-한 갈등과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더해 윤 대통령이 명태균 씨와 통화한 육성이 공개된 겁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장외집회를 열고 여론 총결집에 나선 야당은 윤 대통령을 정조준하며 '탄핵 바람'에 불을 지피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1일) : 불법 국정 이제 멈춰야 합니다. 공정과 상식을 말만 할 게 아니라 행동할 때다라는 말씀….]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은 이 대표의 1심 선고가 이어지는 이번 달, 3번째 김건희 특검법 상정과 재표결까지 몰아붙인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역시 11월 안에 김 여사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압박하는 상황, 윤 대통령으로서는 여당 이탈표를 우려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 (지난달 30일) : 11월에 먼저 매듭지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. 국민들께서 우려하시는 지점들에 대해 과감하고 선제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고 관철할 수 있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국내 정치적 난제뿐 아니라 글로벌 외교 안보 상황도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5일, 미국 대선에 이어 11일에는 일본 차기 총리지명 선거도 예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곧바로 한미일에 중국 등이 회원국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, APEC과 주요 20개국, G20 정상회의까지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미·일 리더십 교체 이슈 직후 열리는 데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까지 추진돼 외교전략 새판짜기를 위한 첫 무대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지에 따라 윤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촘촘하게 이어지는 11월 국내외 정치 외교 안보 일정 속 윤 대통령은 국민과 소통에 나설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윤정 (yjshin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10304502105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