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0대가 6개월 만에 30대를 제치고 우리나라 아파트 거래의 '큰손'으로 다시 올라섰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 조이기로 빚내기가 어려워지자 보유 자금 여력에 따른 차이인 것으로 보이는데, 아이러니하게도 자금력이 더 없는 20대 이하의 매입 비중은 오히려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기봉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 초부터 강남권을 중심으로 불붙기 시작한 아파트 매매 활기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 7월 9천 건에 근접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이후 석 달 연속 큰 폭으로 떨어져 지난달엔 4분의 1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값이 이미 많이 오른 데다, 대출규제까지 겹쳐 추격매수에 제동이 걸린 채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거래를 주도하는 연령대도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공격적 매수로 올해 상승세를 이끌었던 30대가 지난 3월 이후 6개월 만에 아파트 매입 '큰손' 자리를 40대에 넘겨줬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받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아무래도 자기 자금 여력이 더 나은 40대에게 밀렸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이동현 / 하나은행 수석전문위원 :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 대출규제가 강화되고 여기에다 주택담보 대출이나 전세 대출 금리가 인상되면서 전세를 낀 갭투자, 대출을 활용한 주택 매입이 사실상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집값이 상대적으로 더 비싼 서울에서는 이런 현상이 더 일찍 나타났는데, 지난 7월부터 40대가 30대를 앞지른 뒤 9월엔 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30~40대 모두, 전달과 비교해서는 거래 비중이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자기 자금 여력이 큰 50대와 60대의 거래 비중은 전달보다 늘어났는데, 특이한 건 나이가 아예 어린 20대 이하의 매입 비중도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부모 찬스'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국민은행 부동산 전문 위원 : 20대들은 집을 살 여력이 크게 되지 않는 게 현실인데요, 그런데 비중이 높아졌다는 것은 부모의 금전적 지원을 받은 금수저들이 집을 산 게 아닌가 이런 분석을 해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대출 조이기는 투자 성격이 강한 원정 매입도 위축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9월 서울 거주자의 외지 아파트 매입 비중과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 모두 전달보다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기봉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장명호 <br />영상편집 : 김지연 <br />디자인 : 이원희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0322092965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