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은 오늘 대통령 선거뿐 아니라 연방 상하원 의원 선거도 함께 치릅니다. <br /> <br />임기 2년의 하원 전체 의석과 임기 6년의 상원 100석 가운데 1/3인 34석을 선출하는 건데요. <br /> <br />어느 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해 의회 권력을 차지할 지 관심인데 상원은 공화당이, 하원은 양당이 치열한 접전을 벌일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. <br /> <br />김잔디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 예산안의 첫 관문인 하원, 현재 435석 가운데 공화당이 218석으로 다수당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 주요 인사들에 대한 인준 권한이 있는 상원은 반대로 민주당이 51 대 49로 장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론조사업체 대다수는 상원에서 공화당이 다수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 우세 주인 웨스트버지니아와 몬태나에서 공화당이 의석을 가져갈 게 유력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승부를 결정지을 격전지로는 모든 여론조사업체가 민주당이 현역인 오하이오를 지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[폴 벡 / 미 오하이오주립대 정치학 명예교수 : 오하이오에는 민주당원이나 공화당원보다 더 많은 무소속 유권자가 있습니다. 과거의 데이터를 보면 이들은 민주당보다 공화당 쪽으로 더 많이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 전역에서 435명 전원을 2년마다 선출하는 하원은 경쟁이 더 치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조사기관에 따라 공화당의 우위를 예상하는 곳도 민주당의 승리를 전망하는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공화당이 상원에 이어 하원에서도 다수당 지위를 획득한다면 6년 만에 연방의회 권력을 완전히 장악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올해 연방 상·하원 선거에선 한국계 정치인들의 도전도 잇따릅니다. <br /> <br />특히 민주당 소속 뉴저지 3선 하원의원 앤디 김 의원은 연방 상원 진출이 유력해 기대를 모읍니다. <br /> <br />김 의원은 당선될 경우 한국계 최초의 연방 상원의원이라는 역사를 쓰게 됩니다. <br /> <br />매릴린 스트릭랜드와 영 김, 미셸 박 스틸 등 한국계 여성 하원의원 3인방도 나란히 3선에 도전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잔디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 이자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잔디 (jandi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0500093066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