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엔 뉴욕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뜨거운 관심 속에 이번 대선이 초박빙으로 진행되다 보니 투표소 등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특파원 연결합니다. <br /> <br />투표소를 비롯한 중요 시설에 철저한 보호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 경찰 병력이 곳곳에 배치돼 있고요 경계가 삼엄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 대선이 초박빙 구도로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, 2020년 대선 직후 의사당 난입 사건과 같은 폭력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조치가 이례적인 수준으로 격상된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는 유권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선거일과 그 이후의 폭력이나 혼란에 대응하기 위한 전례 없는 보안 시나리오를 가동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경합 주에선 이번 선거 기간에 지난 대선 기간보다 4배 이상 늘어난 대규모 인원을 투입해 24시간 투표소를 감시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선거 기간 응급 요원들의 휴가는 중단된 상태이며, 감시용 드론까지 동원해 요새처럼 보호되는 개표소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전역에 있는 수백 곳의 선거 관리 사무소 역시 방탄유리와 강철 문, 각종 감시 장비로 보호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지역에서는 투표소의 현장 관리 책임자들에게 신분증 끈에 달 수 있는 패닉 버튼, 즉 비상벨을 지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편물을 통한 화학물질 공격에 대비해 방호복과 해독제는 물론, 방탄조끼를 준비한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합 주에서는 주 의사당 주변에 보안 펜스를 설치하고, 주요 시설 출입문과 감시 장비를 보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미국 선거 당국이 초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지난 2020년 대선 이후 벌어진 폭력 사태의 악몽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4년 전 대선에서 패배한 도널드의 극렬 지지자들은 선거 결과에 불복해 2021년 1월 6일 의사당에 난입해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줬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대선 과정에서 선거 사기를 거론하는 등 패배할 경우 불복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 대선 후보들은 막판 변수로 떠오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선거에 어떻게 활용할지 고심하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선거 막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"쓰레기는 트럼프 지지자들뿐"이라고 발언한 것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대선 캠프 양측에 모두 큰 변수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측의 "푸에르토리코는 쓰레기 섬" 실언으로 기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0514072832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