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6년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꺾고 대통령 당선 <br />끊임없는 막말과 음모론·인종 차별로 논란 <br />"2020년 대선 결과 불복해 의사당 폭동 초래" 비판 <br />4년 사이 공화당 완벽하게 장악…경선 압도적 승리<br /><br /> 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은 한때 워싱턴의 주류와는 거리가 먼 이단아였지만, 대중적 인기를 바탕으로 4년 만에 다시 백악관을 탈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쪽에서는 '소외된 미국인의 영웅'으로 열띤 지지를 받고 있지만, 반대쪽에선 '미국 역사상 가장 위험한 인물'로 비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주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는 1946년 뉴욕 부동산 사업가의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25살 때 아버지 회사를 물려받은 뒤 수조 원대 자산가로 성장했고, TV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적 인기를 얻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발판으로 50대부터 정치에 문을 두드렸고 2016년 공화당 후보로 출마해 45대 대통령에 당선됐습니다 <br /> <br />'미국을 다시 위대하게'라는 구호는 워싱턴 정가에서 소외된 미국인들의 열띤 호응을 끌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(2017년 미 대통령 취임식) : 워싱턴은 번창했지만, 국민은 부를 나눠 갖지 못했습니다. 정치인들은 번영했지만, 일자리는 사라지고 공장은 문을 닫았습니다.] <br /> <br />집권 4년간 전통적 동맹국이나 국제기구와 갈등도 불사하며 '미국 우선주의'를 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대중적 노선은 민주당은 물론 공화당 주류와도 번번이 충돌을 일으켰습니다. <br /> <br />끊임없는 막말과 음모론, 노골적인 인종 차별로 미국 사회의 분열을 키웠다는 비판도 따라 다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20년엔 재집권에 실패한 대선 결과를 부정해 사상 초유의 의사당 폭동으로 이어지는 불씨를 제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[트럼프 전 대통령(2021년 1월 의사당 폭동 당시) : 우리를 선거를 도둑맞았습니다. 모두가 알다시피 우리가 압도적으로 승리했습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 성 추문 입막음 의혹 등으로 90개가 넘는 혐의로 기소되면서 한때 재기가 불가능하다는 평가까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차근차근 기존 주류 세력을 밀어내고 공화당을 장악한 결과, 경선에서 압도적 승리를 거뒀습니다. <br /> <br />대선 유세 과정에선 두 번의 암살 위기를 넘기면서 더욱 극적인 모습이 연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전 대통령 : 매우 자신감이 있습니다. 우리가 많이 우세합니다. 공화당원들이 힘을 발휘한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마지막 유세에서도 당선을 자신한 트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주영 (hijun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0621024145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