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을 확정 지으며 1,405원까지 치솟았던 원-달러 환율이 오늘도 1,400원 안팎에서 거래 중입니다. <br /> <br />증시는 코스피는 상승, 코스닥지수는 하락하며 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를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. <br /> <br />류환홍 기자, 지금 환율 움직임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,400원을 중심으로 소폭으로 등락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-달러 환율은 1,401.1원으로 개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젯밤에는 1,405원까지 치솟았는데, 소폭 하락한 채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에도 환율이 1,400원을 기록했는데, 그때는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 전운이 고조되면서 환율이 급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환율이 1,400원대에 진입한 것은 그때 이후 7개월 만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당선 수혜 종목에 투자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입니다. <br /> <br />시장에서는 트럼프 당선인 공약인 관세 인상이 시행되면,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고조돼 금리 인하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달러화 매수 심리가 확산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의 비트코인 친화적인 입장에 비트코인 가격도 사상 처음으로 76,000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 사이에선 연내에 환율이 1,420원까지 오르리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환율 상승폭이 커지면서 우리 정부도 경각심을 갖고 대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오전 경제관계장관회의가 열렸는데, 최 부총리 말을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최상목 / 경제부총리 : 새 정부 의회 구성과 FOMC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각별한 긴장감을 가지고 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한편,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단계별 대응 계획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한국은행도 트럼프 당선 후 무역환경과 환율 변화가 우리 수출과 국제수지, 물가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세 인상으로 수출 장벽이 높아지고, 환율 상승으로 2달 연속 1%대 상승률을 보인 소비자물가가 들썩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증시는 보합을 나타냈는데, 이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약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0... (중략)<br /><br />YTN 류환홍 (rhyuh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0716051423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