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아시아 국가들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화물 운임 분석기관인 제네타 측은 내년 1월 20일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기업들이 미국으로 상품을 보내기 위해 서두르면서 운송료가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제네타의 수석 분석가는 "미국 운송업체의 반응은 새로운 관세가 부과되기 전 수입품을 선적하는 것"이라며 "창고 공간과 운송할 상품이 있다면 수입품을 선적하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이 위험을 관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'미국 우선주의'를 내세운 트럼프 당선인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60% 관세 부과를 공언하고 중국에 부여한 최혜국대우(MFN) 지위도 철회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1기 행정부는 전례 없는 미중 무역전쟁을 촉발했고, 이로 인해 공급망을 동남아시아나 인도 등으로 이전하는 흐름이 가속화됐습니다. <br /> <br />씨티은행은 중국이 대미 무역의 일부를 다른 국가로 돌리지 못한다면 관세 조치가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2.4%포인트 떨어뜨릴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당선인은 또 중국뿐 아니라 모든 나라에서 오는 수입품에도 관세 10~20%를 부과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<br /> <br />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혼다는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100%가 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의 위협이 "지극히 큰 영향"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혼다의 수석부사장은 어제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관세가 실행된다면 "미국 국내나 다른 곳으로 생산 이전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당선인은 또 타이완 기업들이 미국의 칩 산업을 훔쳤다고 비난했고,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해 수십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(반도체 위탁생산) 업체 TSMC를 향해 "자국으로 돌아가라"고 발언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동남아시아의 경우, 트럼프 1기 시기에는 중국 내 공장들이 이전해오면서 혜택을 봤지만, 이제는 미국의 통상무역 표적이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라시아 그룹의 동남아 책임자인 피터 멈포드는 "동남아와의 무역 불균형에 더 많은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. 베트남의 엄청난 대미 무역흑자가 분명한 표적이 될 수 있다"고 짚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기자ㅣ유투권 <br />AI 앵커ㅣY-GO <br />자막편집 | 이미영 <br /> <br /> <br />#지금이뉴스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10719145118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