울산 시립 미술관이 문을 연 지 3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미술관이 들어서면, 침체한 울산 중구 원도심에 활기를 불어넣을 거란 기대가 컸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관람객이 많이 줄어든 데다, 미술관 주변 상권 활성화 효과도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JCN 울산중앙방송 구현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22년 문을 연 울산시립미술관입니다. <br /> <br />개관한 첫해 19만4천여 명이 미술관을 찾으면서 울산 시민들의 문화 갈증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줬습니다. <br /> <br />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살아생전 수집한 '이건희 컬렉션'을 선보인 지난해에도 19만8천여 명이 미술관을 다녀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울산시립미술관을 다녀간 관람객은 8만900여 명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1년 만에 관람객이 절반가량 줄어든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까지 하루 평균 600여 명에 달했던 미술관 관람객이 올해는 하루 300명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술관 주변 상인들도 기대했던 미술관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미술관 주변 상인 : 미술관을 들어가서 보고만 가지, 과자 하나도 안 사 가요, 진짜로. 장사가 안돼서 점포도 많이 내놨잖아요.] <br /> <br />일부 상인들은 관람객이 줄어들고 주변 상권이 살아나지 않는 이유로 시립미술관에 걸맞지 않는 규모와 눈길을 끌 만한 전시 부재, 부족한 주변 인프라 등을 꼽습니다. <br /> <br />[미술관 주변 상인 : '문화의 거리'가 생긴 게 미술관 착공할 때부터 시작을 했는데 주변에 볼거리, 즐길 거리가 없다. 미디어 아트도 그냥 소규모이고….] <br /> <br />여기에 시립미술관 전시를 총괄하는 팀장은 1년 넘게 공석. <br /> <br />당장 눈길을 끌 만한 대규모 전시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침체된 원도심 상권에 활기를 불어넣을 거라 기대했던 미술관 효과가 반짝 특수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JCN 뉴스 구현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구현희 jcn (kimmj02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110901215733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