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시지와 슈바인학센 같은 고기 요리로 유명한 독일이 유럽에서 채식 인구 비율이 가장 높다는 사실, 시청자 여러분은 알고 계신가요? <br /> <br />독일에선 이상 기후에 대응해 스스로 채식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데, <br /> <br />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녹색 삶을 택한 독일 청년들을 김겨울 리포터가 만나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독일 함부르크에 있는 한 가정집입니다. <br /> <br />룻츠 씨가 브로콜리 한 송이를 꺼내 꼼꼼히 다듬습니다. <br /> <br />정성 들여 썰어낸 감자를 포함해 찜기 가득 건강한 음식이 채워집니다. <br /> <br />룻츠 씨는 고기, 우유, 달걀과 같은 동물성 식품을 전혀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, 다시 말해 비건입니다. <br /> <br />직접 기른 콩과 버섯이 식탁 위에 오를 때 룻츠 씨 마음은 뿌듯하기만 합니다. <br /> <br />건강을 위해 바꾼 삶의 방식이지만, 이제는 환경 보호라는 책임감을 누구보다 소중히 여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룻츠 슐트 / 비건 : 육류 생산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많은 숲이 제거되고 소의 먹이를 위해 더 많은 식수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가 발생해요. 육류 생산이 주는 피해는 그것이 주는 이익보다 훨씬 큽니다.] <br /> <br />버섯과 채소만으로 다채로운 조합을 선보이는 비건 한식당을 찾은 핀란드 씨 역시 어느덧 3년 차 비건입니다. <br /> <br />[핀란드 노이 / 비건 : 채식주의나 비건 생활을 선택한 데에는 환경 보호에 대한 고민이 영향을 미쳤어요. (제 비건 선택의) 시작점은 동물 복지였지만 말이죠.] <br /> <br />유럽에서 채식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, 의외로, 육식을 즐길 것이란 선입견을 깬 독일입니다. <br /> <br />시내 마트는 비건을 위한 육류 대체 식품을 여럿 배치해 소비자들이 자발적인 친환경 삶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는 동물성 식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지적하며, 채식주의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대안 가운데 하나라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[마틴 카임 / 환경 경제학자, 본 대학환경개발연구센터장 : 분명 동물성 식품도 긍정적인 영양 효과가 있으므로 모든 사람이 비건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. 다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대량의 고기와 기타 동물성 식품의 생산과 소비를 줄이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채식이 하나의 추세로 자리 잡은 독일 사회. <br /> <br />상당수 독일 청년들은 오늘도 자신들이 불러온 녹색 나비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독일 함부르크에서 YTN 월드 김겨울입니다.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변가영 (bgy06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0901263113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