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춧값이 크게 올라 김장을 어떻게 해야 하나, 망설이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. <br /> <br />날씨를 고려하면 올해는 중부 지역에선 예년보다 하루 이틀 늦게, 남부는 빨리 김장을 시작하는 게 좋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춥고 긴 겨울을 대비해 김치를 담가 보관하는 우리 고유의 전통, '김장'. <br /> <br />한국문화의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13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늦가을부터 초겨울 사이, 배추와 무를 소금에 절인 뒤 고춧가루와 마늘, 생강 등 양념을 더해 숙성시키는데, 김장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'온도'입니다. <br /> <br />보통 김장은 하루 평균기온이 4℃ 이하로 떨어지고, 최저기온이 0℃ 이하로 유지될 때가 가장 좋습니다. <br /> <br />기온이 더 높으면 김치가 빨리 익고, 낮으면 배추나 무가 얼게 돼 제맛을 내기 어려워서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올해 김장하기 좋은 시기는 언제일까요. <br /> <br />지난 30년 평균을 보면, 중부는 보통 11월 19일에서 12월 1일 사이, 남부는 12월 4일부터 1월 9일까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올해는 중부는 예년보다 늦게, 남부는 빠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 <br /> <br />단풍처럼 김장 역시 중부지방이 남부보다 일찍 시작하는데, 11월 중하순까지는 온화한 날씨가 이어지다가 남부가 김장을 시작하는 12월부터는 예년보다 추워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재정 / 케이웨더 예보팀장 : 11월 중순 이후 기온이 떨어질 때가 있지만,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겠고, 12월에는 잦은 한파로 인해 중부는 김장 적정 시기가 예년보다 1~2일가량 늦어지고, 남부는 1~3일가량 빨라질 전망입니다.] <br /> <br />춘천이 11월 21일로 가장 빠르겠고, 서울은 예년보다 하루 늦은 12월 1일이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. <br /> <br />대전은 12월 2일, 대구 12월 6일, 광주는 12월 8일이 적기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기온이 높은 여수와 부산은 각각 내년 1월 1일과 7일이 김장 적정 시기로 전망됐습니다. <br /> <br />1920년대 서울 김장 적정 시기는 11월 21일이었지만, 2010년대에는 11월 27일로, 일주일가량 늦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구 온난화로 갈수록 김장 시기가 늦춰지고 있는 만큼 조만간 김장을 한겨울에 해야 할 날이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110905130358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