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의협 내부에서 강성으로 분류됐던 임현택 회장이 탄핵되면서, 내일 첫발을 떼는 여야의정 협의체에도 어떻게든 파급 효과가 있을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조심스럽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의료계가 여야의정 협의체에 추가로 참여하게 되면 의정 갈등을 푸는 실마리가 생길 수도 있단 기대감도 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, 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대한의사협회는 비대위 구성에 이어 차기 회장 선거도 한 달안에 마무리 짓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60일 안에 차기 회장 선거를 치르면 되지만 속도를 내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차기 신임 회장이 선출할 때까지 비대위 체제로 대응에 나섭니다. <br> <br>[김교웅 /대한의사협회 대위원회 의장] <br>"이번 비대위에는 전공의도 많이 참여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. 의견이 교환돼서 여야의정 협의체도 들어갈지 말지 결정하게 되는데..." <br> <br>임현택 회장의 탄핵으로 의협을 중심으로 한 의료계가 전환점을 맞으면서 내일 출범하는 여야의정협의체도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. <br><br>의사단체 2곳만 참여하기로 한 협의체에 의협이 들어올 경우 새 국면을 맞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야당에도 의정갈등 해결을 위해 적극 참여해 달라고 공문을 보냈습니다.<br> <br>[김상훈 / 국민의힘 정책위의장] <br>"전문의 처우개선 등 다양한 주제로 논의할 거니까 민주당에서 참여를 해주는 게 좋지 않겠는가 참여를 협조 요청하는 공문이죠." <br> <br>정부는 협상 주체를 한덕수 국무총리로 높여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겠다는 생각입니다. <br> <br>다만 올해 의대정원이 확정된 상태에서 반발을 줄이고 차기 의협 회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의정 갈등 해법 여부를 가늠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홍승택 <br>영상편집:이희정 <br>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