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 최초의 비트코인 결제는 피자 두 판이라는 사실은 꽤 유명하죠? <br /> <br />2010년 5월 18일 비트코인 포럼 이용자였던 한 프로그래머가, <br /> <br />자신에게 피자 두 판을 보내주면 비트코인 만 개를 주겠다는 글을 올렸는데요. <br /> <br />나흘 뒤 거래에 성공해 바로 이 피자를 받게 됩니다. <br /> <br />최초의 비트코인과 현물 간 거래로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1만 비트코인은 약 41달러, 지금 시세로는 약 8억9천만 달러, 우리 돈으로 1조 원이 훌쩍 넘는 돈이죠. <br /> <br />당시 피자 두 판 가격은 30달러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때를 시작으로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5월 22일을 '피자데이'로 부르며 기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트코인, 미리 사둘걸! 후회하는 분들 요즘 너무 많은데요, <br /> <br />일찍부터 암호 화폐 친화적인 정책을 펼쳐온 나라들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남미의 엘살바도르는 2021년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했죠. <br /> <br />친암호화폐 정책을 밀어붙인 부켈레 대통령은 2022년 비트코인 시세가 만 5000달러까지 떨어졌을 때에도 "싸게 팔아줘서 감사하다. <br /> <br />앞으로 매일 1비트코인씩 사들이겠다"며 추가 매수에 나섰고, <br /> <br />그 결과 64% 손해에서 2년이 지난 현재는 수익이 90% 안팎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전문가는 "비트코인이 연말까지 10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다"고 밝혔는데요, <br /> <br />반면 트럼프 당선인과 시장의 허니문이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신중론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인철/ 경제평론가 (뉴스나우 출연) :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약을 보다 보면 대부분 따뜻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만들겠다는 거예요. 돈 풀면서도 물가 잡을 수 있습니까? 금리 내리면서도 물가는 잡겠다, 불가능합니다. 왜냐하면, 이민자를 추방하게 되면 노동력이 부족하니까 인건비가 올라갈 수밖에 없고요. 또 세계적으로 관세 폭탄을 부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미국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그만큼 더 큰 물가,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밖에 없는데 그런데 그게 현실화되게 되면 이런 자산 버블은 꺼집니다.]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하린 (lemonade010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1217094129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