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거대한 모래 폭풍이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를 집어삼켰습니다.<br> <br>20중 추돌사고에, 대규모 정전 피해를 입었습니다.<br><br>중국에선 불 난 건물의 안면인식장치 때문에 대형 인명 피해를 당할 뻔했습니다.<br> <br>해외 사건 사고, 이솔 기자가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수십 미터 높이의 거대한 모래 폭풍이 순식간에 들판을 집어 삼킵니다. <br> <br>학교 건물 지붕이 뜯어져 나가고, 길가의 나무들도 모두 쓰러졌습니다. <br> <br>마치 영화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모래 폭풍이 발생한 것은 현지시각 11일. <br><br>미국 캘리포니아 중부 지역이었습니다.<br> <br>최대 시속만 78km에 달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아마우리 실바 / 캘리포니아 주민] <br>"뒤를 딱 돌아봤는데… 지금도 떠올리면 소름이 돋네요. 단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일이었습니다." <br><br>현지 언론들은 몇 달 동안 건조한 날씨가 이어졌고 여기에 저기압도 강해 모래와 먼지를 동반한 강한 바람이 일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피해도 잇따랐습니다. <br> <br>캘리포니아 센트럴밸리에선 정전이 돼 주민 1만7000명이 불편을 겪었고, 가시 거리가 30m도 채 안 된 고속도로에선 20중 추돌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건물 1층에서 붉은 화염과 함께 검은 연기가 치솟습니다. <br> <br>잠옷 차림의 여학생들이 얼굴을 가린채 건물 밖으로 뛰쳐나오고, <br> <br>곳곳에서 기침 소리와 울음이 터져나옵니다. <br> <br>현지시각 10일 중국 산둥성의 한 대학 여학생 기숙사에서 불이 나 학생들의 대피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.<br> <br>그런데 출입문에서 안면 인식기가 계속 작동 돼 논란이 됐습니다. <br> <br>[상하이 자오천 뉴스] <br>"학생들이 기숙사 건물의 안면 인식 장치가 대피 시 장애물이 됐다고 지적합니다." <br> <br>자칫하면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다며 비난이 일자 학교 측은 보안을 위한 조치였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