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, 자폭무인기 성능 시험 현장을 찾았습니다.<br><br>하루 빨리 생산체계를 구축해 대량 생산을 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배경이 뭘까요?<br><br>최수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흰색 자폭형 공격 무인기로 추정되는 물체가 승용차 위로 꽂히자 불길이 치솟습니다. <br> <br>또 다른 무인기는 전차 모형을 그대로 타격합니다. <br> <br>북한이 어제 자폭형 공격 무인기 성능 시험을 실시했다며 현장 사진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무인기는 형태나 기종 등을 알아볼 수 없도록 '모자이크' 형태로 처리해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참관 했습니다. <br><br>김 위원장의 무인기 성능 시험 현장 방문은 올해 8월 이후 석 달 만입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김정은 동지께서는 새로 개발된 무인기들의 전술기술적특성과 제원에 만족을 표시하시었습니다." <br><br>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"하루 빨리 자폭 무인기의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대량 생산에 들어가야 한다고 지시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><br>특히 무인기 성능 시험 주체가 지난 8월 방문 때와 달라졌는데, 북한이 무인기 분야를 특화시키기 위해 독립 조직을 만들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양 욱 /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] <br>"무인항공기술연합체라는 것을 통해서 연구소와 기업소들을 모아 자폭 드론들을 앞으로 양산을 하고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전문가들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무인기 기술을 이전 받아 러시아나 다른 나라에 판매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각에서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쌓은 실전 경험을 향후 무인기 운용에 결합해 한반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조성빈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