흔히 '불과 얼음의 땅'으로 불리며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아이슬란드가 지구 온난화로 유례없는 위기에 직면했다는 경고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엄청난 무게의 빙하가 녹으면서 화산 활동이 다시 격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자 국가적 차원에서 전면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875년 대폭발을 일으켰던 아이슬란드의 대표적인 화산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60년간 잠잠했지만, 몇 해 전부터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빠른 속도로 부풀어 오르기 시작해 3년간 무려 80cm나 지표면이 솟아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화산 아래로 막대한 양의 마그마가 유입되면서 일어난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일부 과학자들은 이런 변화를 지구온난화의 결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엄청난 무게로 지각을 눌렀던 빙하가 녹으면서 지각 아래 맨틀의 압력이 낮아져 마그마가 더 쉽게 만들어지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에릭 스터켈 / 스웨덴 예테보리대 지구물리학자 : 개봉하지 않은 샴페인 병 안에서는 거품을 볼 수 있습니다. 코르크 마개를 따고 내부의 압력을 낮추면 기체가 액체에 녹아 밖으로 나오면서 팽창하는 원리입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만여 년 전,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직후 아이슬란드의 화산 활동은 50배나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아이슬란드의 34개 활화산 가운데 절반가량은 빙하에 덮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지난 130년간 빙하의 16%가 사라졌고, 매년 유실되는 양은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과학자들의 경고가 현실이 돼, 대규모 연쇄 분화가 일어난다면 아이슬란드는 국가적 차원의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미셸 파크스 / 아이슬란드 기상청 화산학자 : 현재 빙하가 아이슬란드의 약 10%를 차지하고 있고, 지구 온난화의 결과로 빙하가 후퇴하고 있습니다. 이런 상황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화산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거대한 얼음에 짓눌린 화산은 아이슬란드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. <br /> <br />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안데스 산맥과 남극에 이르기까지 240여 개의 화산이 비슷한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최소한 백 개의 화산이 있는 남극의 경우, 연간 천5백억 톤의 얼음이 사라지고 있어 언제든 임계점을 넘어설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유투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한경희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투권 (r2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1602183248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