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이익 우선주의의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뒤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은 쓰나미급 충격에 휩싸였습니다. <br /> <br />1,400원을 뚫고 치솟은 환율과 추락하는 주가로 비틀거렸는데, '트럼프발' 타격이 앞으로는 어떤 강도로, 언제까지 이어질지 우려 섞인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기봉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트럼프 승리' 기류가 감지된 지난 6일 오후 우리 금융시장에 일기 시작한 파장은 곧 쓰나미급 충격파로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거래일로 불과 일주일 동안 코스피는 6.2% 빠지며 연저점을 기록했고, 8월 초 '블랙먼데이' 이후 처음으로 시가총액이 2천조 아래로 내려왔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닥은 9% 넘게 떨어져, 지난해 1월 이후 20개월 만에 최저점을 찍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기간 세계 주요 증시는 소폭 하락 또는 상승했지만, 유독 코스피와 코스닥이 눈에 띄게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[공동락 / 대신증권 리서치 부장 : (트럼프 시대를 맞아) 특히 변동성이 커진 상태에서 우리나라 경제는 수출 의존적인 경제가 워낙 크기 때문에 트럼프 리스크가 곧바로 국내 주식시장에 다른 나라보다 더 크게 반영이 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가 자국 자동차 산업을 위해 한국의 자동차 산업을 견제하고, 대중 강경책으로 중국의 IT 수출을 제한할 경우 중국에 반도체를 수출하는 한국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심리가 시장을 위축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외환시장도 충격과 혼돈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당선 가능성이 전해진 날 단숨에 심리적 저지선인 천4백 원을 뚫은 뒤 며칠 사이 장중 천4백10원을 넘어서며 초강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자국 기업 보호를 위한 관세 장벽으로 수입 물가가 오르고 이민자 억제 정책으로 미 국내 생산 원가가 올라 연준의 금리 인하가 어렵게 될 거라는 전망이 달러 값을 올린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금리 인하를 주저할 경우, 우리도 금리 인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어, 자칫 고환율에 고물가, 고금리라는 '신(新)3고'의 늪에 빠질 수 있다는 건데 이런 기조가 앞으로도 계속될 수 있다는 예측입니다. <br /> <br />[주원 /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: 최소한 금융시장의 변동성, 지표들이 급하게 올랐다가 급하게 내려가는 이런 현상은 (트럼프가) 경제정책의 방향을 잡기 전까지 불안정성은 상당히 오랜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결국, 주도 산업 다변화와 규제 완화,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경제의 기초체력 강화만이 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1605033989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