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가졌습니다.<br> <br>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이 러시아에 추가 파병을 못하도록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했고, 시진핑 주석은 한반도에서 전쟁과 혼란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화답했습니다.<br> <br>송진섭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환한 미소와 함께 악수를 나눈 뒤 회담장으로 향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. <br> <br>바이든 퇴임전 마지막으로 조우하는 자리에서 두 정상은 미중 관계에 초점을 맞췄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“(솔직한 대화는) 두 나라 간의 경쟁이 갈등으로 치닫지 않도록 보장합니다.” <br> <br>시 주석은 특히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인 중국 60% 관세를 의식한 발언도 내놨습니다. <br><br>[시진핑 / 중국 국가주석] <br>“특정 국가를 차단하고 공급망을 분리하는 건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.” <br><br>이 같은 발언을 두고 뉴욕타임스는 두 정상 모두 회담장에 없는 누군가에게 말하는 것 같았다, 바로 트럼프 당선인. 이라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문제도 논의됐습니다. <br><br>바이든은 “북한군의 추가 파병을 막기 위해 중국이 가진 영향력을 사용해 달라”고 촉구했습니다. <br><br>그러면서 러북밀착이 "대남 도발이나 7차 핵실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"고 우려했습니다.<br> <br>중국의 대북 압박을 직접적으로 요구한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시 주석은 파병 문제에 대한 직접 언급은 피한 채 "한반도에 분쟁과 혼란은 허용하지 않겠다"며 전략적 안보와 핵심 이익이 위협받는 시점을 좌시하지 않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한반도에 혼란을 줄 수 있는 압박은 가하지 않겠다는 의지 표명과 함께 미국의 한반도 군사배치 강화를 견제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송진섭 기자 husba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