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이 마음대로 폭파해버린 경의선과 동해선 남북연결도로, 여기에 들어간 우리 예산이 1800억 원인데요. <br><br>정부가 이 돈을 돌려받을 방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송진섭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달 15일 북한이 군사분계선(MDL) 이북 경의선과 동해선 연결도로와 철로 일부를 폭파했습니다. <br> <br>이 폭발로 현물 차관 형태로 투입된 우리 세금 약 1800억 원도 모두 물거품이 됐습니다. <br> <br>[구병삼 / 통일부 대변인 (지난달 15일)] <br>“1억 3290만 달러(약 1800억 원)에 달하는 차관에 대한 상환 의무가 여전히 북한에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.” <br> <br>이에 대해 우리 정부가 이 돈을 북한으로부터 돌려 받을 방법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통일부 고위관계자는 “도로 폭파는 북한이 차관을 갚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걸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”며 “상환 조처를 유관 부서와 검토 중”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정부 관계자는 “1800억 원 현물 상환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”며 “손해배상청구 소송 등도 고려 대상”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다만 상환 시기는 아직 미지수입니다. <br><br>경의선과 동해선 남북 도로 연결 사업은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 이후 중단됐다가 문재인 정부시절 재개됐습니다.<br> <br>[문재인 / 전 대통령(지난 2018년)] <br>“남과 북은 올해 안에 동서 해선 철도와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가질 것입니다.” <br> <br>정부는 북한이 2020년에도 일방적으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데 대해, 지난해 447억 원 상당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송진섭 기자 husba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