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스라엘과 헤즈볼라 휴전을 위해 레바논을 찾았던 아모스 호치스타인 미 특사가 이스라엘에서 네타냐후 총리를 만나 휴전 논의를 이어갑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의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하는 유엔 안보리의 결의안 채택도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불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홍상희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휴전 논의를 위해 레바논을 찾았던 조 바이든 미 대통령 중동 특사 아모스 호치스타인이 이스라엘로 향했습니다. <br /> <br />친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를 대신해 휴전 협상에 나선 나비 베리 레바논 의회의장과 만난 호치스타인은 추가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인터뷰:아모스 호치스타인/미국 중동 특사] <br /> <br />어제 회의에 기반해 오늘 추가적인 진전을 이뤘습니다. 그래서 몇 시간 후에 이스라엘로 이동해 가능하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스라엘은 헤즈볼라가 휴전 합의 사항을 위반할 경우 '행동의 자유'를 유지해야 한다며 자위권 행사를 위한 군사작전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헤즈볼라 수장 나임 카셈도 이스라엘이 원할 때마다 레바논 영토에 들어와서는 안 된다며 침략의 완전한 종식과 레바논 주권 보존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휴전안 논의에 나설 예정인 호치스타인 특사는 내년 1월 교체되는 미국의 새 행정부와도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안보리에서는 13개월을 넘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가자지구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결의안 채택이 불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안보리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간의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하는 결의안 채택을 추진했지만, 상임이사국인 미국이 거부권을 행사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휴전 요구안에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의 즉각적인 석방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스라엘의 주장에 힘을 실어 준 겁니다. <br /> <br />[로버트 우드 /주유엔 미국 차석대사 : 우리는 인질 석방에 실패한 채 무조건적인 휴전을 지지할 수 없습니다. 유엔 안보리가 이미 촉구했듯이 인질 석방과 함께 전쟁의 종식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결의안 채택 불발에 우리나라를 포함해 결의안을 제안한 10개 선출직 이사국과 상임 이사국들은 깊은 유감을 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바실리 네벤지아/주유엔 러시아 대사 : (미국 대표는) 결의안에 인질 석방에 관한 조항이 포함돼 있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12115135808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