냉탕과 온탕을 오가며 기온 변화가 큰 날씨가 이번 주말과 다음 주를 지나 이번 겨울 동안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또 다음 주에는 서울 등 일부 지역에 첫눈이 내릴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주말과 다음 주 사이 또 한 차례 날씨 변화가 크게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주말과 휴일에는 맑고 선선해 전국에서 막바지 늦가을 날씨가 펼쳐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다음 주입니다. <br /> <br />비구름에 북서쪽의 한기까지 유입돼 날씨가 급변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다음 주 초반 전국에 비가 내리고, 주 중반에는 한기가 남하하며 서울 등 내륙 곳곳에 첫눈이 가능성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첫눈과 함께 서울 등 내륙 곳곳에서는 영하권 추위도 예고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준/ 기상청 예보분석관 : 다음 주에는 요란한 날씨가 잦을 것으로 예상되고 기압골 통과 후 한기 남하에 따라 강한 바람과 높은 물결이 예상되고….] <br /> <br />이 같은 '널뛰기 날씨'는 가을을 지나 겨울에도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이번 겨울 3개월 날씨 전망에서 <br /> <br />올해 12월과 내년 1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고, 2월 기온도 예년보다 높아 비교적 온화한 겨울이 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<br /> <br />다만, 주기적으로 찬 공기가 남하하는 등 변수가 있어 기온 변화가 큰 겨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경숙 / 기상청 기후예측과장 : 북서 태평양과 북대서양, 인도양의 고수온과 티베트의 적은 눈 덮임은 우리나라에 고기압성 순환을 강화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에 (기온) 상승 요인이 되고요, 그러나 라니냐와 유라시아의 많은 눈덮임, 북극해의 적은 해빙 때문에 우리나라로 차고 건조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(기온이)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고] <br /> <br />결국, 올해 가을처럼 온화한 날씨 탓에 조금만 추워져도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듯한 혼동스러운 날씨가 될 수도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[우진규 / YTN 재난자문위원 ·기상청 통보관 : 이번 겨울 평년과 비슷하다는 것이 추위가 없다거나 찬 공기가 약하다고 받아들이기보다는 전체적인 춥고 낮음을 평균했을 때 평년과 비슷하다 이해해주셨으면 좋겠고, 경우에 따라서는 강한 기류가 형성될 때 굉장히 급격한 기온 하강도 있을 수 있다고….] <br /> <br />겨울철 총 강수량은 예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돼 이번 겨울은 대체로 건조한 겨울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지형적인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112300151160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