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한 전망이 있었지만, 지금은 불투명한 상황으로 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북한 모두 대화보다는 대결 쪽으로 가는 분위기인데요. 북한도 참전 중인 우크라이나전에 대한 차기 미국 정부의 정책 방향이 변수가 될 가능성은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미정상회담 경험이 있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북미대화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던 건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국무장관과 국가안보보좌관 등에 대북 초강경 인사들이 내정되면서 분위기가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 대선 이후 침묵하던 북한 역시, 트럼프 행정부에도 기대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내놓기 시작하면서 '대화' 기대감은 점점 식어가는 분위기 입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(지난 18일) : (김정은 위원장은) 조선반도의 긴장상태를 사상 최악으로 격상시킨 미국과 괴뢰 한국을 비롯한 적대세력들의 반공화국 군사적 대결 광태의 위협적 성격에 대해 밝히시고….]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은 미국과는 협상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봤지만, 남은 건 적대뿐이었다며 미국과 더 이상 협상할 일이 없다는 점을 직접 강조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당선인이 하루라도 빨리 끝내고 싶어하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이 파병하고 있다는 점도 북미관계 걸림돌로 작용합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당선인(지난 16일) :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문제를 위해 많이 노력할 것입니다. 멈춰야 합니다.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(전쟁은) 멈춰야 합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침묵을 깨고 대미 공세에 나선 북한의 의도가 오히려 협상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군사력이 트럼프 1기 당시보다 강해졌고, 러시아를 등에 업고 더욱 강화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것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양무진/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: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런 강 대 강에 있어서 트럼프 당선인 측의 반응을 보여주면서 더 나아가서 과거처럼 비핵화 협상이 아니라 일종의 핵군축협상 이런 전략적 의지를 염두에 둔 표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그러나 비핵화가 아닌 핵을 용인하는 핵군축 협상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핵무기를 무제한으로 늘리겠다는 북한이 비핵화 협상문을 먼저 두드릴 가능성은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선기 (sunki05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12305324584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